본문 바로가기
관심사 소식

고려대 초전도체 상온 상압 초전도체의 개발, 중국 미국 초전도체 연구 결과

by 마케팅 바다를 유영하는 마케팅고래 2023. 8. 2.
반응형

세계 초전도체 개발의 역사

초전도체 연구의 시작은 100여년 전인 1911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네덜란드의 물리학자 헤이커 카메를링 오너스가 수은의 전기저항이 비정상적으로 낮아지는 초전도 현상을 발견한 것이 초전도체 연구의 시작입니다. 이후 다양한 물질에서도 초전도 현상이 나타나면서 기술은 점차 발전해왔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상온에서 초전도체를 찾지 못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는 지속되고 있습니다.

 

국내 연구진의 발견과 논란

이석배 퀀텀에너지연구소 대표와 권영완 고려대 연구교수 등 국내 연구진은 섭씨 127도 이하의 상온에서도 초전도 현상이 일어나는 'LK-99'라는 새로운 물질을 개발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해외 주요 외신과 소셜미디어를 통해 일반인들까지 논문에 대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주장에 대해서는 해외와 국내 과학계 사이에서 의견이 분분합니다.

미국, 중국에서 실험 성공?

중국 화중과기대 연구 공개 동영상
미국 오크리지 국립연구소 공개 사진

이후 미국 국립연구소는 LK-99 물질의 이론적 가능성을 확인하는 결과를 내놓았고, 중국의 화중과학기술대학교 연구팀은 실제 실험실에서 LK-99 결정 합성과 마이스너(반자성) 효과 검증에 성공한 것으로 주장했습니다.

마이스너 효과는 특정 물질이 적절한 온도에서 초전도 상태가 되고 자기장이 완전히 사라지는 현상으로, 초전도체를 시각적으로 보여줄 때 자주 사용됩니다.

중국 연구진이 공개한 영상을 보셨나요?

 

현미경으로 관찰한 검정색의 작은 점이 보입니다. 이 작은 점은 반자성 현상을 일으키고 있는데, N극 또는 S극 등 극성에 무관하게 반자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러나 연구팀은 현재 반자성 현상만 재현하는 데 성공했으며, 전기저항이 0인지에 대해서는 추가 실험이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논문의 회의적인 반응과 추가적인 검증의 필요성

사이언스지는 "세부사항이 부족해 물리학자들이 회의감에 휩싸여 있다"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구진 내에서도 한 저자가 다른 저자들의 허락 없이 논문을 무단으로 온라인 사이트에 올린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로 인해 정식 동료평가 절차를 거쳐 논문을 게재하겠다는 반응이 나왔습니다.

아직까지 제대로 검증되지 않은 논문이기 때문에 실제로 상온 초전도체로서의 성공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검증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그러나 만약 이러한 상온 초전도체 개발에 성공한다면, 자기부상열차나 전력망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막대한 혁신과 발전이 기대됩니다.

국내 연구진의 노력과 기대

우리나라의 연구진이 먼저 상온 초전도체 개발에 성공한다면 국내 외에도 세계적인 주목을 받을 수 있으며, 이는 국가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성과로 평가될 것입니다.

 

우리나라의 초전도체 연구진이 성공적인 결과를 거두기를 기원하며, 더 높은 수준의 과학 기술 발전을 기대합니다. 상온 초전도체 개발이 성공한다면 전기 산업에 혁명을 가져올 수 있으며, 미래 에너지 분야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 우리나라의 연구진들의 노력과 기술력이 빛을 발하길 기대하며, 더욱 더 발전된 세계적인 과학기술 대국으로 나아가길 기원합니다.

고려대 연구부터 발표까지 비하인드 스토리, 중국 실험 성공

최근 이석배 퀀텀에너지연구소 대표와 권영완 고려대 연구교수 등 국내 연구진은 섭씨 127도 이하의 상온에서도 초전도 현상이 일어나는 'LK-99'라는 새로운 물질발표했습니다.

이와 관련한 이론은 1990년대에 고려대 화학과의 최동식 교수님이 초전도체 분야에서 중요한 이론 정립을 하였습니다.
이후 최동식 교수님의 제자인 이석배와 김지훈 박사는 1999년부터 연구를 시작하여 초전도체 분야의 새로운 물질을 연구하였습니다.
그 결과는, 2019년에 새로운 초전도체 물질인 LK99를 발견하였습니다.

 

 

이 물질의 이름은 이석배와 김지훈 박사의 이니셜과 연구착수연도를 조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초전도체 물질의 발견은 매우 중요한 성과로 평가되며, 이후 발견된 물질의 메커니즘을 이론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필요했습니다. 초전도체 분야는 물리화학, 신소재, 전기전자공학 등 여러 분야의 융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최초의 논문에는 실험실 주소가 고려대학교 연구동으로 나옵니다.

 

반응형